-
라즈베리파이 우분투 서버 구축 #1 우분투 설치 & SSH 설정개발 2022. 12. 5. 22:59
라즈베리파이에 OS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 SD 카드가 필요하다.
먼저, Raspberry Pi Imager을 설치한다.
https://www.raspberrypi.com/software/
Raspberry Pi OS – Raspberry Pi
From industries large and small, to the kitchen table tinkerer, to the classroom coder, we make computing accessible and affordable for everybody.
www.raspberrypi.com
Raspberry Pi Imager를 설치 후 실행한 모습이다. 운영체제와 Micro SD카드를 선택하고 쓰기를 하면 된다.
GUI가 없는 CLI 기반의 우분투 서버가 필요하므로 3번째의 Ubuntu Server 22.10 (64-bit)을 선택했다. 근데 왜 22.04 LTS로 안했지...? OS 설치가 끝나면 라즈베리파이에 전원과 랜선, hdmi 케이블을 연결하고 전원을 켠 후 로그인 한다.
초기 로그인 정보)
ID: ubuntu
PW: ubuntu
조금 편한 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SSH 설정을 우선적으로 하기로 했다.
패키지들을 update/upgrade 한다.
$ sudo apt update $ sudo apt upgrade -y
그리고 openssh-server를 활성화 한다.
$ sudo systemctl enable ssh $ sudo systemctl start ssh
외부 네트워크에서도 접속 할 수 있도록 공유기 설정에서 포트포워딩을 한다.
30022번 포트를 ssh 기본 포트인 22번 포트에 포트포워딩하였다. 터미널에서 ssh -p 포트번호 사용자@ip주소 로 라즈베리파이 서버에 접속한다.
ssh 연결 성공 라즈베리파이에 우분투 설치와 ssh 설정을 완료하였다.
'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ocker로 Elasticsearch + Kibana 개발환경 구성하기 (2) 2023.11.24 [Spring Webflux] #1 Reactive Streams 이해하기 (0) 2023.02.25 [Spring Webflux] #0 Webflux 기본 개념 (2) 2023.02.22 라즈베리파이 우분투 서버 구축 #2 Docker Engine 설치 (2) 2022.12.06 라즈베리파이 우분투 서버 구축 #0 (0) 2022.12.05